생활정보

결핵 약제 부작용에 알아보자

노잼잼 2023. 4. 1. 00:08

결핵은 무엇일까 

결핵은 폐결핵 환자에게서 나온 침방울 또는 비말핵에 의한 만성 감염증으로 폐결핵 환자로 부터 직접 감염 되지만 감염 된다고 해서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결핵 환자와 접촉시 30%정도가 감염되고 감염된 나머지 사람들도 면역력이 약해지지 않은 이상 평생을 건강하게 지낸다. 잠복 결핵을 진단 받았다면 면역력이 약해져 있는 특정시기에 결핵 증상이 발병한다. 

 

 

결핵 치료는 일반적으로 여러 약제를 병합 하여 사용 한다. 부작용 발생 시  약제 투여를 지속 할지 중단 할지를 결정 해야 하는데 부작용 발생시에는 즉시 의료인에게 알리도록 해야 하며, 대게 약제는 1차 약제와 2차 약제로 사용 할 수 있는데 초기에 사용 할 수 있는 1차 약제의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자. 

 

5가지 결핵 약제 부작용

1. 아이소니아지드(Isoniazid-INH,Yuhanzid)

가장 강력한 살균 작용으로 간독성과 말초 신경염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피리독신 부족을 초래 하여 말초신경증을 일으켜서 손과 발에 저린 느낌을 발생 시킨다. 말초신경증의 위험성이 큰 환자에게는 예방을 위해 피리독신을 (10-25mg/day)를 같이 처방 하도록 해야 한다. 

 

2. 리팜핀(Rifampin-RFP)

강력한 살균 작용으로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장애이며 그 외에는 소양감, 피부발진, 간염, 드물게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급성신부전 등이 생길 수 있다. 위장장애는 구토, 속쓰림,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위장약을 동시에 투여 하거나 아침 식후에 소화가 된 후 복용 하도록 교육 해야 한다.

리팜핀을 복용하면 소변, 대변, 객담 등의 모든 체액을 오렌지색 혹은 붉은색으로 변화 시킨다. cytochrome P-450 system의 여러 효소의 강력한 유도체로 작용하여 같이 복용 하는 양제의 대사를 증가 시켜 혈중 농도를 떨어 뜨린다. 

주의 해야 하는 약은 와파린 경구 피임약, 스테로이드, 인슐린, 경구용 혈당강하제 등으로 리팜핀은 스테로이드의 대사를 항진 시키므로 조직에 도달하는 양은 50% 정도 감소 되어 같이 복용 할 경우 스테로이드 용량을 2배로 증량하여 복용 하도록 해야 한다.

 

3.에탐부톨(Ethambutol-EMB,myambutol)

에탐부톨의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시신경염으로 부작용 발생시 중심성신경염이 오게 되어 시력감소 중심성 암점(까맣게 보이는 현상), 녹색 인지능력 감소 등이 나타난다.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대개 투약 시작 후 수 개월이 지나서 나타나게 되고, 약제를 끊으면 부작용은 서서히 회복된다. 에탐부톨은 위장 장애의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는다.

 

4.피라지나마이드(Pyrazinamide-PZA)

피라지나마이드의 부작용에는 위장증세 와 피부발진, 간독성이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고요산혈증이며, 피라지나마이드에 의해 요산의 신장배설 감소로 인해 고요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다발성 관절통도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피라지나마이드에 의한 관절통, 근육통은 대체로 투약을 계속 하면서 진통제를 사용 하면 증상을 경감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통풍이 발생한다면 피라지나마이드 약제는 중단 해야 한다.

 

5.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SM)

스트렙토마이신의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제8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이(耳)독성이며, 다음은 신독성이다. 이독성은 주로 어지러움증을 보이나 입 주위의 감각이상(저린감), 간혹 청력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신독성은 노인이나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생 하기 쉽고, 이러한 부작용은 용량과 비례하여 생기므로 용량을 감소시키거나 투여를 중지 하면 증상은 대부분 호전 되게 된다.